본문 바로가기
정부 정책 지원

실업급여 금액 계산법: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알아보는 수령액

by 광고의 바다 2025. 4. 22.

실업급여는 퇴사 이후 생계를 이어가고 재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일정 기간 동안 지급하는 지원금입니다. 하지만 내가 실제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, 정확히 아는 분은 많지 않죠?

 

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과 수급 기간,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까지 정리해 드립니다. 계산기 사용 전 반드시 읽어보세요!

 

 

 

"실업급여 금액 계산법: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알아보는 수령액" 표지 이미지
실업급여 금액 계산법: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알아보는 수령액

 

1. 실업급여는 어떻게 계산되나요?

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%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단, 상·하한액이 설정되어 있어 소득이 높은 분들도 일정 수준까지만 수령 가능합니다.

📌 실업급여 계산 공식

1일 구직급여 = 평균임금 × 60%

총 수급액 = 1일 구직급여 × 지급일수

 

2. 평균임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
평균임금은 퇴사 직전 3개월간의 총임금을 일수로 나눈 값입니다.

 

예시) 퇴사 전 3개월 총 급여가 750만 원이고, 총 근무일수가 90일이라면:

평균임금 = 750만 원 ÷ 90일 = 약 83,333원
1일 실업급여 = 83,333 × 60% ≒ 약 50,000원

 

3. 실업급여 상한액과 하한액 (2025년 기준)

일급 실업급여 금액(1일 기준)
106,987원 이하 하한액 64,192원
106,988원 ~ 109,999원 평균 임금의 60%
110,000원 이상 상한액 66,000원

 

즉, 아무리 소득이 높더라도 하루 최대 66,000원까지만 지급됩니다.

 

실업 급여를 계산해 보는 직장인 이미지

 

 

 

4. 수급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?

근속기간과 연령에 따라 지급 기간이 달라지며, 평균임금의 약 60% 수준으로 지급됩니다.

피보험기간 
1년미만 
1~3년미만 
3~5년미만 
5~10년미 
10년이상 
50세 미만 
120일 
150일 
180일 
210일 
240일 
50세 이상  장애인 
120일 
180일 
210일 
240일 
270일 

* 상한액 66,000원(2019.1.1. 이후 퇴사자) 

 

 

5. 모의계산기로 예측해보세요!

정확한 금액은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간단히 모의계산이 가능합니다. 다만, 퇴직사유나 구직인정 여부에 따라 실제 수급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👉 실업급여 모의계산 바로가기

 

✅ 실업급여, 받을 수 있는 금액 지금 확인해 보세요!

단순한 평균 계산이 아니라, 실제 ‘상·하한액’, ‘수급 기간’ 등을 고려해 봐야 정확한 예측이 가능합니다.

하루라도 빨리 계산해 보고, 내 생활비 계획을 세우세요.

 

📥 관련글 추천

 

🎯 내 실업급여 예상 금액 확인하기

월급이 얼마였든, 수급 기준에 맞는다면 예상 금액을 빨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실업급여 모의계산 하러 가기